코코로의 디클러터링 7일 스프린트 — 집·디지털·마음까지 가볍게 비우는 초집중 플랜
큰 결심보다 작은 타이머. 7일×90분으로 공간·시간·에너지를 회수합니다.
1) 왜 7일 스프린트인가
정리는 ‘한 번 크게’보다 짧고 선명한 카테고리 정리가 효과적입니다. 7일은 의지의 탄력을 잃기 전, 가시적 변화를 만드는 최소 주기예요. 매일 90분(30×2 + 15×2)만 투자하면, 눈 앞의 바닥·테이블·수납·파일 구조가 분명히 달라집니다.
“정리는 물건의 문제가 아니라 결정의 문제다. 결정 비용을 낮추는 설계가 해답이다.” — 코코로
2) 핵심 원칙 7
- 타이머 우선: 30분 집중 + 5분 휴식 × 2세트 + 15분 마무리.
- 카테고리 한정: 공간이 아니라 종류로 자릅니다(서류/케이블/상의/찬장컵 등).
- 테이블링: 꺼내기→분류→결정→수납의 4스텝을 테이블 위에서만 진행.
- 입구 통제: 들어오는 물건이 나가는 물건보다 많아지지 않도록 규칙화.
- 라벨 즉시: 수납이 끝나면 바로 라벨. 라벨 없는 수납은 임시입니다.
- 보류 박스: 애매하면 30일 보류. 날짜 라벨 + 캘린더 알림.
- 완벽 금지: 80%로 멈추는 용기. 재방문이 지속성의 비결.
3) 7일 플랜(일일 90분)
하루는 준비 5분 → 30분 집중 → 5분 휴식 → 30분 집중 → 5분 휴식 → 15분 마무리로 구성합니다. 타이머·쓰레기/재활용 백·라벨지·두꺼운 펜이 핵심 도구예요.
Day 1 — 시선 정리: 바닥·테이블 제로(Zero)
- 목표: 바닥 직립 물건 0개, 테이블 위 3품만 남기기(조명·식물·트레이).
- 카테고리: 바닥 물건 전체, 책상/식탁 위 물건.
- 액션: 즉시 버림(파손·불용) / 다른 방 귀속 / 임시 바구니.
- 마무리: 트레이 1개에 리모컨·허브·충전기 모으기.
Day 2 — 옷장 캡슐화
- 목표: 상·하의·아우터·신발 각 5개 내로 철수·배치 확정.
- 카테고리: 상의, 하의, 아우터, 신발, 액세서리.
- 액션: 같은 종류끼리 탑처럼 쌓아 비교→좋아요/보류/퇴출.
- 수납: 봉 높이 상의 100–110cm, 롤박스에 시즌 아웃 라벨링.
Day 3 — 주방: 찬장·냉장고 가시화
- 목표: 찬장 2단만 사용(자주 쓰는 것만), 냉장고 박스 3색 규칙.
- 카테고리: 접시·볼·머그, 향신료, 건식 식재.
- 액션: 세로로 세우는 수납(파일홀더), 향신료 12종 제한.
- 냉장 라벨: 소스/단백질/채소 3행, 제조일 표기.
Day 4 — 서류·케이블·잡동사니
- 목표: 서류 A4 박스 1개, 케이블 파우치 1개로 압축.
- 카테고리: 보증서·세금·계약서/설명서, 충전·영상·데이터 케이블.
- 액션: 디지털 스캔 후 원본 최소 보관, 케이블 라벨링(USB-C/HDMI/Lightning).
- 보관: 미디어 박스(콘센트 근처), ‘TOOLS’ 멀티툴 박스 1개.
Day 5 — 욕실·세탁 존
- 목표: 샤워 캐디 4품 룰(샴푸/컨디셔너/바디/클렌저), 수건 컬러 1색.
- 카테고리: 화장품, 위생용품, 세제/세탁망.
- 액션: 유통기한 확인→퇴출, 문 뒤 훅/자석 레일로 수직 수납.
Day 6 — 현관·수납실·박스 시스템
- 목표: 신발 6켤레 룰 확정, 택배/반품 스테이션 마련.
- 카테고리: 신발, 우산/가방, 공구/잡자재, 빈 상자.
- 액션: 현관 벤치+후크, 반품 도구 트레이(칼/테이프/봉투).
Day 7 — 디지털·피날레
- 목표: 홈 화면 1페이지, 바탕화면 아이콘 0, 폴더 3층 구조 도입.
- 카테고리: 앱/알림, 파일/사진, 이메일/북마크.
- 액션: 알림 다이어트, 사진 스크린샷·중복 500장 삭제, 북마크 7개 규칙.
- 마무리: 리셋 데이 반복 일정 등록(주간 20분·월간 60분).
4) 존(Zone) 설계와 툴킷
집을 생활/수면/조리/위생 4존으로 나눠 핵심 3품만 즉시 접근 가능하게 설계합니다.
- 툴킷: 타이머, 대형 쓰레기/재활용 백, 보류 박스 2, 라벨지·유성펜, 4색 포스트잇(퇴출/기부/판매/보류).
- 표기 규칙:
영문 카테고리-번호 + 한글
(예:CLO-02 하의
).
5) 퇴출·기부·판매 플로우
- 퇴출: 파손·유통기한 초과·미사용 1년. 즉시 배출 날짜 지정.
- 기부: 상태 양호·재사용 가능. 세탁/포장 후 박스 라벨(품목·수량).
- 판매: 30일 내 미판매 시 기부 전환. 사진 5컷, 결점 고지, 수령 방식 명확화.
결정 기준이 흔들리면 질문하세요: “지금 이 물건의 역할은 무엇인가?” 답이 막히면 퇴출/보류입니다.
6) 라벨·보류 박스·리셋 주기
- 라벨: 큰 글씨(가로 70×30mm), 카테고리·번호·하위 설명.
- 보류 박스:
HOLD-YYYY-MM
라벨 + 목록(뚜껑 안쪽) + 30일 알림. - 리셋: 일일 3분(퇴근 후), 주간 20분(금 16:30), 월간 60분(마지막 주 일).
7) 디지털 디클러터: 파일·사진·앱
7.1 폴더 3층
/Work /01_Inbox (임시 저장, 주 1회 비우기) /02_Active (진행 프로젝트) /03_Archive (완료, 연/월)
7.2 네이밍 규칙
YYYY-MM-DD_프로젝트_버전.ext
7.3 사진·앱
- 사진: 스크린샷/중복/흐린 컷 먼저 삭제 → 월별 앨범.
- 앱: 90일 미사용 제거, 알림은 메시지·금융·배달만 허용.
- 브라우저: 북마크 7개, 탭 동시 10개 이하.
8) 다시 쌓이지 않게: 입구 통제 습관
- 구매 보류 48시간: 장바구니에 넣고 이틀 뒤 재평가.
- 1 In 1 Out: 새 물건이 들어오면 같은 카테고리 1개 퇴출.
- 현관 임시 바구니: 들어온 우편/영수증/쇼핑백은 당일 처리.
- 위시리스트: 충동구매 대신 3개월 관찰 목록 운영.
9) 체크리스트·템플릿(복붙)
9.1 7일 스프린트 카드
[Day1] 바닥·테이블 제로 □완료 [Day2] 옷장 캡슐화 □완료 [Day3] 주방 가시화 □완료 [Day4] 서류·케이블 □완료 [Day5] 욕실·세탁 □완료 [Day6] 현관·수납실 □완료 [Day7] 디지털·피날레 □완료
9.2 방별 체크리스트
- [ ] 바닥 직립 물건 0개
- [ ] 테이블 3품 규칙
- [ ] 라벨 포맷 적용
- [ ] 보류 박스 생성(HOLD-YYYY-MM)
- [ ] 주간·월간 리셋 등록
9.3 수납 라벨 템플릿
CLO-01 상의(반팔) CLO-02 상의(긴팔) CLO-03 하의(캐주얼) KIT-01 조리도구 KIT-02 접시/볼 DOC-01 서류/영수증 MED-01 상비약 TOOLS-01 공구
9.4 퇴출·기부·판매 플로우 카드
퇴출: 파손/유통기한↑/1년 미사용 → 분리배출/폐기 예약 기부: 세탁·포장 → 품목·수량 라벨 → 전달 일정 판매: 사진 5컷·결점 기재 → 30일 내 미판매=기부 전환
9.5 디지털 30분 루틴
1) 바탕화면 비우기(5) 2) 다운로드 폴더→/01_Inbox 이동(5) 3) 사진 200장 훑기→스크린샷/중복 삭제(10) 4) 이메일 2회 규칙·폴더 3개(Action/Waiting/Archive)(10)
9.6 냉장고 라벨
[상단] 소스(간장/고추장/요거트) [중단] 단백질(두부/닭/계란) [하단] 채소(양배추/양파/브로콜리) 제조일: ____/____ 사용기한: ____/____
10) 자주 묻는 질문
Q1. 가족·룸메와 기준이 달라 자꾸 어지럽혀져요.
A. 라벨+색인표를 A4 한 장으로 공유하세요. “찾기=수납”이 되면 합의 비용이 급감합니다.
Q2. 버릴지 말지 애매한 물건이 많아요.
A. 보류 박스로 보내고 30일 뒤 의사결정. 사용 기록이 없으면 퇴출이 맞습니다.
Q3. 시간이 부족합니다.
A. 30분 단위로 자르세요. 카테고리 1개만 처리해도 다음날 피로가 줄어듭니다.
Q4. 디지털은 어디서부터 시작하죠?
A. 바탕화면→다운로드→사진→이메일 순서. 경로 통일과 네이밍만 지켜도 검색 시간이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