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로의 초보 러닝 8주 루틴 — 0→30분 완주, 안전하게 속도 올리는 법
지속이 실력입니다. 걷기-조깅-러닝을 단계적으로, 무리 없이. 장비·루틴·회복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1) 왜 8주인가 — 습관화의 최소 단위
러닝은 체력보다 리듬이 먼저입니다. 8주는 심폐 적응·근육·힘줄이 무리 없이 따라올 시간을 줍니다. 목표는 숫자 기록이 아니라 주 3회, 30분 내외의 규칙적인 움직임을 만드는 것. 완주 시간이 조금 늦어도 됩니다. 중요한 건 다치지 않고 다시 신발을 신는 빈도죠.
2) 러닝 전 준비물 & 셋업
- 러닝화: 발볼·아치에 맞는 쿠션형(초보는 안정/쿠션 모델 권장). 새 신발은 2~3회 걷기로 길들인 뒤 조깅.
- 의류: 땀 배출이 좋은 상·하의. 야간엔 반사 밴드/라이트 필수.
- 소지품: 휴대폰/식별용 카드, 물 300–500ml(여름), 티슈/밴드 소형.
- 앱/시계: 시간·거리·페이스 기록용. 초보는 시간 기준이 편합니다.
표면: 흙길·트랙·고무 포설이 관절 친화적. 초반엔 경사·계단을 피하고 평지 위주로 진행하세요.
3) 페이스·심박·RPE(자각운동강도) 이해
당분간은 심박계가 없어도 RPE만으로 충분합니다. 말문이 트일 정도의 강도가 초보 존(Z2)입니다.
구간 | 느낌(RPE) | 대화 가능? | 목적 |
---|---|---|---|
Z1 | 아주 편함(2–3/10) | 문장 대화 O | 워밍업·회복 |
Z2 | 편안-약간 힘듦(4–5/10) | 짧은 문장 O | 지구력 기초 |
Z3 | 힘듦(6–7/10) | 단어 몇 개 | 유산소 상향 |
초보 8주는 Z1–Z2가 80%입니다. Z3는 간단한 인터벌로 20% 이내.
4) 워밍업·쿨다운 루틴(10+10분)
워밍업(약 10분)
- 빠른 걷기 3분
- 관절 가동 3종(발목 회전 10회, 무릎/엉덩 관절 원 그리기 각 10회)
- 동적 스트레칭 3종(레그 스윙 앞뒤/좌우 각 10회, 런지 워크 10보, 스킵 20m)
- 짧은 조깅 1분(Z1)
쿨다운(약 10분)
- 느린 조깅/걷기 5분(Z1)
- 정적 스트레칭 4종(종아리, 햄스트링, 대퇴사두, 둔근) 각 20~30초×2세트
5) 8주 트레이닝 플랜(주 3회)
요일 예시: 화·목·토. 한 회차는 워밍업 10분 → 본훈련 → 쿨다운 10분입니다.
주차 | 회차 A | 회차 B | 회차 C | 목표 |
---|---|---|---|---|
1주 | 걷기 3분 + 조깅 1분 × 6세트(Z1–2) | 걷기 2:30 + 조깅 1:30 × 6 | 걷기 2 + 조깅 2 × 6 | 관절 적응, 호흡 리듬 찾기 |
2주 | 걷기 2 + 조깅 3 × 5 | 조깅 8 + 걷기 2 × 3 | 조깅 10 + 걷기 2 × 2 | 조깅 시간 늘리기 |
3주 | 연속 조깅 12분(Z2) | 조깅 6 × 3세트(세트간 걷기 2) | 연속 조깅 15분 | 지속주 적응 |
4주 | 연속 조깅 18분 | 인터벌: 2분(Z3) + 3분(Z1–2) × 4 | 연속 조깅 20분 | 지루함 방지·리듬 변화 |
5주 | 연속 조깅 22분 | 파틀렉: 랜드마크 간 가볍게 가속 6회 | 연속 조깅 24분 | 가벼운 변속 적응 |
6주 | 연속 조깅 25분 | 인터벌: 3분(Z3) + 3분(Z1–2) × 4 | 연속 조깅 26분 | 지구력 + 약 자극 |
7주 | 연속 조깅 28분 | 테크닉 드릴 10분(스킵/피치/짧은 스트라이드) 포함 20분 | 연속 조깅 30분 | 폼 정리 + 30분 적응 |
8주 | 30분 가벼운 지속주(Z2) | 리커버리 런 20분(Z1) | 셀프 타임트라이얼 20~25분(무리X) | 루틴 고정 & 다음 단계 준비 |
6) 보강운동: 착지 안정·코어·엉덩이
주 2회, 러닝 후 12~15분이면 충분합니다.
동작 | 방법 | 세트 | 목표 |
---|---|---|---|
글루트 브리지 | 등 대고 누워 엉덩이 들어올리기 | 12회×2 | 엉덩이 활성화 |
스쿼트 박스 | 의자에 가볍게 터치 후 일어나기 | 10회×2 | 착지 안정 |
사이드 플랭크 | 무릎 굽혀 20~30초 유지 | 좌우×2 | 측면 코어 |
카프 레이즈 | 계단 끝에서 발끝 올렸다 내리기 | 15회×2 | 종아리·아킬레스 |
밴드 워크 | 무릎 위 밴드, 옆걸음 10보 | 왕복×2 | 고관절 안정 |
7) 회복·수면·영양·수분
- 수면: 7~8시간을 목표. 늦은 야간 고강도는 피로 누적.
- 수분: 30~60분 러닝은 물이면 충분. 더운 날은 전해질 추가 고려.
- 영양: 러닝 후 1시간 내 탄수+단백질 간단 보충(바나나+요거트/우유+시리얼).
- 셀프 케어: 샤워 전 가벼운 폼롤링 3~5분. 뻣뻣한 부위만 짧게.
8) 초보가 자주 겪는 통증·부상 시그널
부위 | 신호 | 대응 |
---|---|---|
정강이(쉰스플린트) | 앞정강 통증 | 하루 휴식, 종아리 스트레칭, 착지 강도↓ |
무릎 앞 | 계단/런 후 찌릿 | 스쿼트 깊이↓, 카프·대퇴사두 스트레칭 |
발바닥 | 첫걸음 통증 | 볼 마사지, 카프 레이즈, 신발 쿠션 점검 |
주의: 통증이 점점 심해지거나 붓기·열감이 있으면 훈련을 중단하고 전문의와 상담하세요.
9) 코스 설계·안전 수칙
- 순환 루프: 왕복보다 지루함 적고, 거리 조절 쉬움.
- 조도: 야간엔 밝은 길 위주, 반사 장비·전면 라이트 필수.
- 교차로: 신호 100% 준수. 이어폰은 한 쪽만/볼륨 낮게.
- 날씨: 폭염·폭우·미세먼지 땐 실내 트랙/러닝머신 대체.
- 기록: 거리보다 시간·RPE 중심으로 메모.
10) 체크리스트·기록 템플릿(복붙)
10.1 러닝 데이 체크
- [ ] 수분 300ml 섭취
- [ ] 워밍업 10분 완료
- [ ] 본훈련(시간/세트) 기록
- [ ] 쿨다운 10분 + 보강 10분
- [ ] 통증 0–10 메모
10.2 주간 리뷰(15분)
이번 주 러닝: __회 / 총 __분 가장 편했던 구간: Z__ 힘들었던 원인: (수면/수분/코스/날씨) 다음 주 조정: (세트 유지/증감/휴식)
10.3 8주 플랜 카드
[주차] 1 2 3 4 5 6 7 8 [회차A] □ □ □ □ □ □ □ □ [회차B] □ □ □ □ □ □ □ □ [회차C] □ □ □ □ □ □ □ □ 완료 비율: __%
10.4 스트레칭 카드(러닝 후)
종아리 30초×2 햄스트링 30초×2 대퇴사두 30초×2 둔근 30초×2 호흡 5회(4초 들이마시고 6초 내쉼)
11) 자주 묻는 질문
Q1. 비 오는 날은 어떻게 훈련하나요?
A. 젖은 路는 미끄러울 수 있어요. 실내 트레드밀로 시간을 채우고, 보강운동을 5분 더하세요.
Q2. 체중이 신경 쓰입니다. 러닝만으로 충분할까요?
A. 체중 변화는 총 에너지 밸런스가 핵심입니다. 러닝은 소비를, 식단은 입력을 다룹니다. 과한 제한 없이 단백질·채소 비중을 조금 올려보세요.
Q3. 숨이 너무 차요.
A. 말이 이어질 정도 강도로 낮추세요. 걷기와 조깅을 섞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 아닙니다. 오히려 가장 똑똑한 방법입니다.
Q4. 속도를 빨리 올리고 싶어요.
A. 8주 완료 후 주 1회만 짧은 인터벌(예: 400m × 4)을 추가하세요. 나머지는 Z2 지구력으로 채우는 편이 부상 위험이 낮습니다.
Leave a Reply